본문 바로가기
정보 사건

이재용, 美서 일론 머스크 만나 차량용 반도체 사업 챙겼다

by 흔남이 2023. 5. 14.
반응형

이재용, 美서 일론 머스크 만나 차량용 반도체 사업 챙겼다

삼성전자의 이재용 회장이 미국 출장 중 테슬라의 CEO인 일론 머스크와 만나 차량용 반도체 사업에 대한 중요한 논의를 진행하였다고 알려졌습니다.

삼성전자는 이재용 회장이 10일에 미국 실리콘밸리에 위치한 삼성전자 북미 반도체연구소에서 머스크 CEO와 첨단산업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이번 미팅은 이 두 사람이 개별적으로 처음으로 만나 이루어진 것입니다.

일론 머스크는 전세계 최대의 전기차 제조업체인 테슬라를 이끌고 있습니다. 또한, 다음 세대 위성통신(스타링크), 우주 탐사(스페이스X), 다음 세대 모빌리티(하이퍼루프), 인공지능(뉴럴링크·오픈AI) 등 다양한 첨단 기술 분야의 기업들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와 테슬라는 완전자율주행 반도체의 공동 개발을 비롯하여 다음 세대 IT 기술 개발을 위한 교류를 적극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번 회의를 통해 삼성전자의 차량용 시스템 반도체 사업 영역이 확대될 것인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왼쪽 두번째부터 최주선 삼성디스플레이 사장, 칸 부디라지 테슬라 부사장, 앤드류 바글리노 테슬라 최고기술책임자(CTO),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경계현 삼성전자 DS부문장(사장), 최시영 삼성전자 파운드리사업부장(사장), 한진만 삼성전자 DSA 부사장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 [사진제공=삼성전자]

삼성전자는 테슬라의 완전자율주행 반도체 제조 경험과 자율주행 카메라 및 소프트웨어 개발 기업 모빌아이의 고성능 반도체 위탁 제조 주문 등을 통해 차량용 반도체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공지능(AI) 반도체 기업인 암바렐라의 자율주행 차량용 시스템온칩(SoC) 주문을 받아 5나노미터 공정에서 생산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분야에서 차량용 반도체 사업을 확대하기 위해 4나노미터 공정을 도입하는 등 기술 리더십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자율주행 차량 분야에서 신규 고객사를 확대하고, 2027년까지 파운드리 사업에서 모바일 외 제품군 매출 비중을 50% 이상 높이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습니다.

시장조사업체인 스트래티지애널리틱스와 리서치앤드마켓에 따르면, 글로벌 차량용 부품 시장은 2024년에 4000억달러(약 520조원), 2028년에는 7000억달러(약 910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자동차가 전기차와 자율주행차로 변화함에 따라 사용되는 반도체의 수와 종류가 다양해질 것이라는 전망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이재용 회장은 지난달 20일에 윤석열 대통령의 미국 국빈 방문 경제사절단에 동행하여 미국을 방문하였습니다. 이후 22일 동안 미국 동부와 서부를 아우르며 미래 핵심 사업을 챙기는 데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는 역대 최장 기간의 출장으로, 이번 출장 중에는 존슨앤존슨(J&J), BMS, 바이오젠, 구글, 마이크로소프트(MS), 엔비디아 등의 경영진들과 만남을 가졌습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삼성전자의 미래 전략에 대한 주목도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