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사건

사람은 하루에 200번의 거짓말은 한다?

by 흔남이 2023. 4. 8.
반응형

사람은 하루에 200번의 거짓말은 한다?

제가 요즘 식사를 하면서 무한도전이란 프로그램을 자주 돌려보곤 하는데요

527회차에 방영된 진실게임이라는 특집을 보았습니다

그 회차에서 김태호PD님이 말씀 하시길 사람은 하루에 200번의 거짓말을 한다고 말씀하시더라구요

그냥 지나치기엔 너무 믿기지 않아 제가 한번 열심히 자료를 수집해 보았습니다!

미국 남 캘리포니아 대학의 연구에서 하루 동안 한 사람이 하는 거짓말 횟수가

200번 이상이라는 결과가 나왔다고 합니다

예를 들면 한국인의 거짓말 신호 25가지 중에 안면비대칭이 60% 발생한다고 합니다

거짓말을 하는 사람들이 자주 눈을 깜빡이는것은 찔리는 것이 있기 때문이라고 하는데요

그러나,

사람들이 하루에 거짓말을 200번 한다는 것은 큰 오해입니다

사실 이 숫자는 과장되었으며 과학적 증거로 지지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Bella DePaulo 박사의 연구에 따르면 사람들이 하루에 거짓말을 하는 실제 횟수는 개인의 상황에 따라 하루 몇 번, 수십 번까지 빈도는 다양하다고 합니다.  
거짓말의 빈도와 성격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인격의 특성, 사회적 및 문화적 요인, 상황 변수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오해가 널리 퍼진 이유 중 하나는 거짓말은 복잡하고 다양한 측면을 가진 행동이기 때문입니다

거짓말은 사회적 조화를 유지하거나 타인의 감정을 상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작은 무해한 '선의의 거짓말'부터 다른 사람을 조작하거나 개인적 이익을 얻기 위한 보다 심각하고 고의적인 거짓말에 이르기까지 다양합니다 거짓말이 다양한 목적과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그 빈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거나 계량하기가 어렵습니다
거짓말에 대한 연구는 사람들이 거짓말을 하는 동기가 매우 다양하다는 것을 밝혀냈습니다

이에는 처벌을 피하려고,자신의 이미지나 명성을 보호하려고,사생활을 유지하려고 또는 단순히 사회적 기준과 기대에 부응하기 위한 것 등이 포함됩니다
 또한, 거짓말하는 경향은 개인간에 크게 다를 수 있으며, 양심, 친화력, 개방성과 같은 인격 특성의 차이와 문화적 요인 및 양육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거짓말의 빈도를 결정하기 어렵게 하는 또 다른 요소는 타인들이 자신의 거짓말에 대한 행동을 인식하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거짓말은 의식적인 생각이나 신중함이 없이도 충동적으로 이루어지며, 말한 사람조차도 거짓말로 인식을 못할 수가 있습니다 게다가 사람들은 종종 자신이 하는 거짓말의 범위를 과소평가하면서 동시에 다른 사람들의 거짓말은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경향은 사회에서 거짓말이 얼마나 퍼져 있는지에 대한 인식이 부풀려지게 될 수 있습니다

또한, 거짓말이 무조건 비난받거나 도덕적으로 부정적으로 여겨지지는 않는다는 점을 주목해야 합니다
경우에 따라 거짓말은 더 큰 선을 위해 행해지거나 다른 사람에게 해를 끼치지 않기 위해 필요하거나 심지어 덕목으로 여겨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친구의 감정을 보호하거나 누군가의 위험을 피하게 하는 거짓말은 때때로 긍정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그 결과 도덕적으로 옳다고 여겨 질수도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사람들이 하루에 200번 거짓말한다는 주장은 과학적 증거에 의해 지지되지 않으며 거짓말의 실제 빈도를 과대평가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거짓말은 사람의 행동 중 일반적이고 만연한 측면이긴 하지만, 하루에 거짓말하는 실제 횟수는 개인과 상황에 따라 크게 달라지며, 인격 특성, 사회적 맥락, 문화적 배경과 같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거짓말의 복잡성과 뉘앙스를 이해함으로써 인간 행동의 흥미로운 면모에 대한 보다 정확하고 세밀한 관점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우리 모두가 거짓말의 복잡성을 인식하고 존중하면서, 서로에 대한 이해와 진실성을 추구하는 세상을 만들어 나갈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